
우리 몸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때, 단순히 체중 숫자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비만 여부를 판단하려면 BMI(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복부비만 기준을 함께 확인해야 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남녀별·연령별로 구분된 건강 BMI표, 표준체중 계산법, 그리고 복부비만 기준 허리둘레 표를 한눈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1. BMI란? – 몸무게와 키로 보는 건강 지표
BMI(Body Mass Index)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비만이나 저체중 여부를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BMI 계산 공식
BMI = 체중(kg) ÷ [키(m)]²
예를 들어, 170cm에 65kg이라면 BMI는 약 22.5로 정상 범위에 속합니다.
대한비만학회 기준 (2025 최신)
- 저체중: 18.5 미만
- 정상: 18.5 ~ 22.9
- 과체중: 23 ~ 24.9
- 비만: 25 이상
- 고도비만: 30 이상
BMI 수치가 높을수록 고혈압, 당뇨, 지방간 등 대사질환의 위험이 커지므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2. 표준체중 계산법
‘표준체중’은 키와 성별을 기준으로 산출된 건강한 체중 범위입니다.
공식
- 남성: (키(cm) - 100) × 0.9
- 여성: (키(cm) - 100) × 0.85
예: 170cm 남성의 표준체중은 (170-100) ×0.9 = 63kg입니다.
이 수치를 중심으로 ±10% 정도를 정상 범위로 봅니다.
| 구분 | 체형 | 기준 |
|---|---|---|
| 표준체중 -10% 이하 | 저체중 | 건강 관리 필요 |
| 표준체중 ±10% | 정상 체중 | 건강한 범위 |
| 표준체중 +10~20% | 과체중 | 체중 조절 권장 |
| 표준체중 +20% 이상 | 비만 | 건강 위험 증가 |
3. 허리둘레 복부비만 기준표
BMI가 정상이어도 허리둘레가 기준 이상이면 ‘복부비만’에 해당합니다.
복부비만은 체내 지방이 장기 주변에 쌓이는 내장비만 형태로, 심혈관 질환과 대사증후군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복부비만 기준 (대한비만학회 기준)
- 남성: 허리둘레 90cm 이상
- 여성: 허리둘레 85cm 이상
연령이 높을수록 근육량이 줄어 복부 지방이 늘어나기 쉬우므로, BMI뿐 아니라 허리둘레를 함께 관리해야 합니다.
4. 키·몸무게 기준 BMI표 (요약)
| 키(cm) | 정상체중(kg) | 과체중(kg) | 비만(kg 이상) |
|---|---|---|---|
| 150 | 42~51 | 52~56 | 57 이상 |
| 155 | 45~55 | 56~60 | 61 이상 |
| 160 | 48~58 | 59~64 | 65 이상 |
| 165 | 52~62 | 63~69 | 70 이상 |
| 170 | 56~67 | 68~74 | 75 이상 |
| 175 | 60~72 | 73~79 | 80 이상 |
| 180 | 64~77 | 78~85 | 86 이상 |
※ 해당 수치는 BMI 22(정상) ~ 25(과체중) 기준으로 계산되었습니다.
5. 남녀 연령별 복부비만 경계선
연령이 올라갈수록 근육량이 줄고 체지방률이 높아집니다.
다음은 평균적인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복부비만 위험도 예시표입니다.
| 연령대 | 남성 허리둘레 | 여성 허리둘레 | 비고 |
|---|---|---|---|
| 20~29세 | 85cm 이상 | 80cm 이상 | 초기 비만 주의 |
| 30~39세 | 88cm 이상 | 82cm 이상 | 대사증후군 위험 |
| 40~49세 | 90cm 이상 | 85cm 이상 | 복부비만 관리 필요 |
| 50대 이상 | 92cm 이상 | 86cm 이상 |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
6. BMI와 건강의 상관관계
BMI는 단순히 체형을 구분하는 수치가 아니라, 만성질환 위험도를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BMI 23 이상: 당뇨·고혈압 발병률 2배
- BMI 25 이상: 지방간·고지혈증 위험 급증
- BMI 30 이상: 심혈관 질환 및 수면무호흡 위험 증가
특히 복부비만은 BMI가 낮아도 대사이상증후군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BMI + 허리둘레를 함께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7. 건강정보 콘텐츠와의 연결
이 콘텐츠는 BMI 수치별로 맞춤 건강정보 콘텐츠로 확장하기 좋습니다.
예를 들어:
- BMI 18.5 미만 → 영양 관리·체중 증가 식단 콘텐츠
- BMI 23~24.9 → 체중 감량 운동 루틴 콘텐츠
- BMI 25 이상 → 복부비만 관리, 저염·저탄 식단 콘텐츠
이처럼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와 연결하면 검색 유입뿐 아니라 체류 시간과 재방문율도 함께 높일 수 있습니다.
✅ 정리
- BMI는 체중 ÷ (키²) 로 계산하며, 18.5~22.9가 정상
- 남성 허리둘레 90cm, 여성 85cm 이상이면 복부비만
- 체중보다 중요한 것은 비율과 지방 분포
- 꾸준한 측정과 생활습관 개선이 건강의 핵심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당뇨 환자를 위한 건강한 다이어트 방법 (0) | 2025.10.22 |
|---|